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연봉 실수령표 한눈에 (국민연금, 건강보험 포함)

by 이슈브리퍼 2025. 3. 28.

“연봉 3000이면 월급 얼마 받을 수 있나요?”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궁금한 질문입니다. 하지만 연봉은 ‘세전 금액’이고, 실제 받는 금액은 세후 실수령액이기 때문에, 4대 보험과 세금을 뺀 ‘진짜 월급’을 알아야 재무 계획을 세울 수 있죠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연봉 실수령표를 통해 국민연금, 건강보험 등 공제 항목까지 포함한 실수령액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
연봉실수령
연봉실수령

1. 2025년 기준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율

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려면 먼저 공제되는 항목부터 알아야 합니다.
2025년 현재 기준, 일반 직장인에게 적용되는 주요 공제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.

구분 공제율 (2025년 기준) 비고
국민연금 4.5% 근로자 부담분
건강보험 3.545% 장기요양 포함 전
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.95% 건강보험료에 포함 계산
고용보험 0.9% 산재보험은 회사 전액 부담
소득세 누진세율 (과표 구간별 적용) 급여에 따라 달라짐
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% 별도 공제

이 항목들을 모두 차감하면 실수령액은 세전 연봉보다 15~27% 적어지게 됩니다.

 

2. 2025 연봉 실수령액표 (월 기준, 비과세 없음, 부양가족 1인)

다음은 2025년 기준으로 연봉별 월 실수령액을 정리한 표입니다.
(기준: 부양가족 1명, 비과세 수당 없음, 월 12개월 균등지급 기준)

연봉(세전) 월 세전금액 4대보험 및 세금 공제액 월 실수령액 (세후)
30,000,000 2,500,000 약 274,262원 2,225,738원
40,000,000 3,333,333 약 439,642원 2,893,691원
50,000,000 4,166,667 약 630,889원 3,535,778원
60,000,000 5,000,000 약 841,801원 4,158,199원
70,000,000 5,833,333 약 1,065,774원 4,767,559원
80,000,000 6,666,667 약 1,281,358원 5,385,309원
90,000,000 7,500,000 약 1,551,251원 5,948,749원
100,000,000 8,333,333 약 1,821,611원 6,511,722원

※ 위 수치는 사람인, 네이버 연봉 계산기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, 개인 소득공제 항목, 비과세 수당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
 

3. 연봉 실수령액 계산 예시

📌 연봉 5,000만 원 기준

  • 월급(세전): 4,166,667원
  • 국민연금 (4.5%): 약 187,500원
  • 건강보험 (3.545%): 약 147,700원
  • 장기요양 (건보의 12.95%): 약 19,130원
  • 고용보험 (0.9%): 약 37,500원
  • 소득세 + 지방세: 약 239,059원
  • 총 공제금액: 약 630,889원
  • 월 실수령액: 약 3,535,778원

 

4. 실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변수

실제 월 실수령액은 단순히 연봉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. 다음과 같은 항목들도 실수령액에 영향을 줍니다.

  • 부양가족 수: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소득세 공제가 커져 실수령액 ↑
  • 비과세 수당: 식대, 차량유지비 등 일부 항목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됨
  • 성과급/상여: 연봉 외 수당이 있는 경우 별도 계산 필요
  • 지방세율 변동: 일부 지자체 기준 변경 시 실수령액 차이 발생 가능
  • 건강보험료 인상: 2025년 7월 국민연금 인상 예정 → 실수령액 변동 가능

 

 

5. 국민연금 공제 기준 (2025년)

국민연금은 근로자의 월 소득을 기준으로 4.5%를 납부하게 되며, 동일 금액을 회사도 부담합니다.
예를 들어, 월 급여가 400만 원이라면 국민연금 공제액은 180,000원이며, 회사도 같은 금액을 추가로 납부합니다.

국민연금 공제 예시:

  • 월급 300만 원 → 공제액: 약 135,000원
  • 월급 500만 원 → 공제액: 약 225,000원

국민연금은 일정 소득구간에 대해 상한선과 하한선이 설정되어 있습니다. 2025년 상반기 기준, 해당 상한·하한 정보는 공식 발표 이후 확인하시는 것이 정확합니다.
실수령액 계산 시 국민연금은 전체 공제 중 가장 큰 항목 중 하나이므로, 연봉 설계 및 실수령액 확인 시 반드시 반영해야 합니다.

 

6.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는 어디서?

빠르게 내 연봉 기준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 보세요.

  • 사람인 실수령액 계산기
    https://www.saramin.co.kr → 부가서비스 → 실수령액 계산기
  • 네이버 연봉 실수령 계산기
    네이버 검색창에 "연봉 실수령 계산기" 검색 → 간편 이용 가능

입력 항목: 연봉, 부양가족 수, 비과세 수당, 세금 자동 계산

 

7. 결론 -  연봉보다 중요한 건 ‘실수령액’

연봉이 높다고 해도, 4대보험과 세금이 공제되고 나면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훨씬 적습니다.
2025년 현재는 특히 국민연금 인상, 건강보험료 부담 증가 등으로 실수령액 차이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.

💡 재테크, 저축, 대출계획을 세우기 전 반드시 실수령액 기준으로 생활비를 계산해 보세요.
실수령액을 정확히 알아야 진짜 재무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📌 단, 개인별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고, 정확한 계산은 연봉계산기나 세무 상담을 권장합니다.